
강의용 동영상 편집을 위해 접하게 된 'KBS다큐 인사이트_유튜브 편'_침착맨 동영상에서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요즘 정확하게 자기 성향과 맞는 사람들을 찾을 수 있어서 그런 사람들하고만 얘기를 하다 보면 남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것 같아요. 정보가 발달할수록 소통이 더 어려워지는 것 같다."
이 말은 나와 꼭 맞는 사람들하고만 대화를 하려고 하다 보니, 그 이외의 부류들과는 굳이 말을 할 필요를 못 느낀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우연한 기회에 대화를 하게 되면 이해의 노력이 부족하여 소통이 더 어려워진다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점점 '우리'가 되어가기 힘들다는 얘기였습니다.
문득 '매일의 언어', '오늘의 언어'를 '우리' 관점에서 되돌아보았습니다. 숱한 말들이 오고 갔겠지만, 출근해서 퇴근까지의 대표적인 낱말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고, 그 낱말들이 얼마나 우리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음미해보았습니다.
1. 시작의 언어: "안녕"과 "좋은 아침"
아침 출근길. 아직 잠이 덜 깬 머릿속을 깨우는 건 바로 이 두 마디입니다. '안녕'이라는 짧은 인사는 단순히 반가움을 넘어섭니다. 서로의 눈을 마주하며 "오늘 하루도 별 탈 없이 무사히 보내길" 하고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고 응원하는 깊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 뒤에 이어지는 '좋은 아침'은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경쾌한 신호탄입니다. 아직 시작되지 않은 오늘을 기대하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는 주문과도 같습니다. 어떠신가요? 이 두 마디만 잘 전달되어도 '우리'의 하루 시작이 제법 그럴싸해 보입니다.
2. 협업의 언어: "부탁드립니다"와 "고맙습니다"
사무실에 앉아 업무를 시작하면 언어는 실용적으로 변합니다. '부탁드립니다'라는 말은 '우리' 협업의 시작을 알립니다. 나의 일이 곧 '우리'의 일이 되고, 서로의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 사용하는 가장 정중하고 효율적인 언어입니다.
그리고 그 뒤를 잇는 '고맙습니다'. 업무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 동료에게 전하는 감사의 표현입니다. 이 두 단어는 업무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엔진과도 같습니다. 부탁으로 시작해 고마움으로 마무리되는 과정은 회사라는 조직의 유기적인 관계를 보여줍니다.
3. 회복의 언어: "미안합니다"
일이 항상 순조로울 수 만은 없습니다. 때로 실수가 생기고, 의도치 않은 오해로 관계에 작은 균열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때 '우리'를 다시 단단하게 묶어주는 말이 바로 '미안합니다'입니다. 이 짧은 한마디는 책임을 회피하는 대신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겠다는 용기이며, '당신'의 마음을 헤아리고 있다는 공감의 표현입니다. 진심이 담긴 사과는 관계의 끝이 아니라, 더 성숙한 '우리'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이 됩니다.
4. 인정의 언어: "수고하셨습니다"
업무의 과정은 때로 결과보다 더 중요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라는 말은 그 과정을 묵묵히 견뎌낸 동료의 땀과 노력에 대한 진심 어린 인정입니다. 비록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더라도, 그 과정에 함께한 노고를 알아줄 때, 우리는 좌절 대신 다시 한번 함께 뛸 힘을 얻습니다. '고맙습니다'가 결과에 대한 감사라면, '수고하셨습니다'는 과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