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밋업
컨퍼런스
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 법령과 제도 확인하세요

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 법령과 제도 확인하세요

노무전체
무사
김동미 노무사Jul 27, 2025
228116

1. 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노동 법령과 제도 요약

2. 폭염·한파에 대한 보건조치 의무 확대 (시행: 2025.6.1.)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에 따라 사용자는 2025.6.1.부터 폭염과 한파에 장시간 노출 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건조치를 실시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보건조치를 해야 하는지는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을 통해 규정될 예정입니다.

구체적인 보건조치에 관한 사항은 아직 정해진 바 없지만,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은 이미 시행 중에 있어 의무 미이행 시에는 벌칙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한 온열·한랭질환 예방 가이드를 참고하여 사전에 대응방안을 마련해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온열·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보건조치 예시>

3. 상습체불 사업주에 대한 제재 강화 (시행: 2025.10.23.)

법 개정에 따라 현재 퇴직자에게만 적용되는 미지급 임금에 대한 지연이자가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또한, 상습체불 사업주에 대해 국가 등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지원금 등의 제한을 받거나 금융기관의 대출 또는 금융거래 시 불이익을 받는 등 경제적 제재가 강화됩니다.

<상습체불 사업주에 대한 제재 강화 주요 내용>

개정 법령에 따라 재직 중인 자에게도 지연이자가 확대되면서 ▲임금 정기지급일보다 하루라도 늦게 지급하거나, ▲최저임금 미달자의 임금 결정이 지연되어 일정 기간 당해연도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임금을 지급한 경우,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일부 수당을 제외하고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을 산정·지급한 경우 등에 대해 지연이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리 임금 구성항목별 통상임금 해당여부를 사전에 검토하는 등 정확한 임금 지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지급 요건 완화 (시행: 2025.7.1.)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허용한 사업주에게 지원되는 육아휴직 등 지원금(월 30만원)은 휴직·단축 기간 중에 50%, 휴직·단축 종료 후 6개월 이상 계속 고용 시 50%(사후지급금) 지급합니다. 이에 따라 육아휴직 등 종료 후 6개월 경과 전에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 사업주는 귀책사유가 없음에도 경우 지원금 잔여분 50%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법령 개정에 따라 2025.7.1.부터는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하는 경우에도 지원금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국민연금 제도 변경

(1)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


무사
김동미 노무사

댓글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
(주)오프피스트 | 대표이사 윤용운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8길 13, 4층 402-엘179호(서초동, 제일빌딩)
사업자등록번호: 347-87-0349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5-서울서초-2362호
전화: 02-6339-1015 | 이메일: help@offpiste.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