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토마스 에디슨의 이 명언, 어릴 때부터 부모님 성화에 아니면 학교에서 선생님들 통해, 또는 위인전을 통해 우리 모두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죠. 그래서일까요? 우리는 언제나 '99%의 땀', 즉 '노력'과 '성실'을 강조하는 문화에 익숙합니다. 토마스 에디슨의 이 명언만큼이나 노력의 중요성을 훌륭하게 대변하는 말이 또 있을까요? 하지만 이 명언에 우리가 모르는, 어쩌면 더 중요한 뒷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사실 이 말은 에디슨의 의도와는 조금 다르게, 한 기자의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훗날 에디슨은 그의 명언을 옮겼던 기자에게 이렇게 정정해주었다고 하죠. "1%의 영감이 없다면, 99%의 노력은 아무 소용이 없다(헛되다).” 라고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숏폼 동영상 플랫폼 기업인 TikTok에서 세일즈와 리더십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박민산입니다. 저는 오늘 에디슨이 진짜 말하고 싶었던 '1%의 영감'이 어떻게 기업 교육의 성과(Impact)와 ROI를 극대화하고, 특히 '왜'를 중시하는 MZ세대 구성원들을 폭발적인 성과로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저희의 생생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시키는 교육’에서 ‘하고 싶은 교육’으로: Demand-Pull의 마법
기업 교육 담당자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교육을 '숙제'가 아닌 '기회'로 느끼게 할까?", "어떻게 배움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게 할까?" 이 질문의 답은 바로 교육에 대한 'Demand-Pull(수요 견인)'을 만들어내는 데 있습니다.
'Demand-Pull'은 특정 교육 기법이 아닙니다. 교육을 통해 구성원들이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고, 더 배우고 싶어 하고, 현업에 적용하고 싶어 안달이 나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촉발하는 스위치가 바로 에디슨이 말한 '1%의 영감', 즉 '왜 이 일을 하는가(Why)'에 대한 깊은 공감과 이해입니다. 이 'Why'가 빠진 교육은 아무리 잘 설계되어도 결국 회사가 밀어 넣는(Push) '공급자 중심'의 교육에 머물고, 구성원들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해 ROI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틱톡은 어떻게 ‘1%의 영감’을 설계했는가?
저희 틱톡 역시 기하급수적인 성장과 함께 2025년의 야심 찬 매출 목표를 마주했습니다. 단순히 스킬을 주입하는 것만으로는 이 거대한 도전을 넘을 수 없다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리더부터 팀원까지, 모두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스스로 움직이게 만드는 강력한 동력이 필요했죠. 이것이 바로 저희가 '세일즈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된 이유입니다.
저희의 목표는 명확했습니다. '어떻게(How)' 팔 것인가를 가르치기 전에, '왜(Why)' 우리가 이겨야만 하는지에 대한 영감을 불어넣는 것이었습니다. 프로그램 설계시 핵심 목표 역시 '1%의 영감'에 집중했습니다.
목표 초과 달성을 위한 동기 부여 (Ignite a Drive): 개인의 전략을 회사의 '더 큰 비전(overarching narratives)'과 연결하여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강력한 소속감과 추진력을 부여한다.
자문적 영업(Consultative Selling) 및 코칭 역량 강화 (Elevate Acumen): 리더가 단순히 지시하는 관리자가 아니라, 팀원의 성장을 돕는 '플레이어/코치(Player/Coach)'가 되어 학습과 개선의 문화를 만든다.
팀 결속력과 신뢰 강화 (Strengthen Cohesion): 우리 팀이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목적과 핵심 가치를 명확히 하여 어떤 어려움에도 흔들리지 않는 단단한 팀을 구축한다.
저희는 이 '1%의 영감'을 구호가 아닌 실제 경험으로 만들기 위해, 기존의 주입식 교육의 틀을 과감히 깼습니다. 이론 강의를 최소화하고, 리더들이 현장에서 마주할 진짜 문제들을 안전한 환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