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가 뭔데 채용 전문가랍시고 이런 글을 써?] 👉 프로필 보러 가기
→ 저는 2011년부터 커리어를 시작하여 직업을 6번 바꿨으며, 헤드헌터로 6년 6개월 근무한 후에 인하우스로 이직하여 현재 3년 넘게 채용씬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있는 (자칭) 채용전문가입니다. 저는 구직자, 헤드헌터, 그리고 한 기업의 채용담당자로서 2015년부터 2025년까지의 채용 시장 흐름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매해 채용 시장의 트렌드를 아는 것도 중요한데 10년간의 채용을 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쭉 채용 시장의 변화에 대해 꼽씹어보니 10년을 크게 3개의 구간으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각화 하여 아래의 이미지를 작업했습니다.
2025년은 정말 구직자에게도 고통스럽고,
기업들에게도 아주 힘든 한 해였다는 말을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많은 부분에서 어려움들이 있었습니다.
채용 시장 역시 어려웠습니다.
출처(클릭) - 2025.07.10 기사
그럼 각 구간별로 어땠는지 알아볼까요?
→ 지금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대기업에 있는 인재에게 연락했는데 스타트업에 합류했다고 했었습니다. 저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지만 누구는 좋은 대기업을 왜 놔두고 거기를 가냐고 했습니다. 근데 그게 초기 배달의민족이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 되는 반응이죠. ㅎㅎㅎ
→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스타트업에 가면 망하는 길이라는 시대적 발상이 있었는데, 2010년부터 조금씩 변화들이 보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네카라쿠배당토 중에서 카/쿠배당토는 이때쯤 설립되었습니다.
카카오: 전신인 아이위랩은 2006년 설립, 카카오로 사명 변경은 2010년
쿠팡: 2010년 설립
배달의민족: 2010년 설립
당근마켓: 2015년 설립
토스(비바리퍼블리카): 2013년 설립
→ 이들 전에는 스타트업 중에 대기업들에게 인재경쟁에서 위협이 될만한 스타트업은 거의 없었다고 보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물론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들도 많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기업을 포기하고 갈 정도의 기업들은 거의 없었습니다. 또한 이제 여기 기업들도 스타트업이라고 표현하면 안 될 정도로 규모가 커졌습니다.
[이 당시를 돌아보기]
“일단 뽑자” 분위기: 빠른 충원이 중요했던 시절
스타트업에 몰리는 VC 자본 → 무리한 성장 플랜 → 사람부터 뽑고 보자
신입 중심 채용 + 1~2년 안에 망하거나 M&A되는 기업들
대기업은 구조조정과 채용 축소 중인 곳도 많았고, 여전히 공채 중심의 채용 활발
→ 많은 인재가 스타트업으로 빠져나감
실제 기업 사례: 배달의민족/야놀자/마켓컬리 등 인력 확충
당시 핫했던 채용 포지션: 개발자 + 기획/운영 직무와 마케터/데이터 직무 수요 폭증
주요 키워드: 빠른 사업 확장, 불투명한 조직 구조, 짧은 이직 용인하는 문화 시작
→ 이때가 다름 아닌 코로나 시대입니다. 당시에 디지털전환을 가속화 시킨 것이 코로나였다고 말하는 전문가들이 많았습니다. 애초에 코로나로 인해 매출이 많이 오른 기업들도 있습니다. 그 중에 쿠팡이 바로 떠오릅니다. 쿠팡은 코로나 전에는 원어브댐이였다면, 코로나 이후로는 그들이 스스로 외쳤던 슬로건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를 실현했습니다.
→ 또한 발 빠르게 대응한 기업들은 긴축을 통해 이 기간을 잘 버텼고, 망하거나 폐업하거나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도 정말 많습니다. 전체 사업자 기준 20~30%의 기업들이 폐업했다고 합니다. (통계자료 PDF) 대국민적인 우울과 슬픔이 뒤덮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 개인적인 이야기이지만 저도 가족 중에 하늘나라로 간 분이 계십니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의 삶은 totally 바뀌게 되었고, 이걸 계기도 수많은 기업들도 더 많은 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는 요소를 겸비하게 되었습니다.
[이 당시를 돌아보기]
2019년 투자 축소 분위기 + 2020년 팬데믹 → 버티는 회사만 살아남는 시기
“신입보다 경력, 포텐보다 즉전감(전력감)” → 바로 실무 투입 가능한 인재 선호
채용 인원 축소 → 뽑을 땐 정말 실력자 뽑자 분위기
인재도 조직을 검증하기 시작 (서로서로 문화적 핏 중요해짐)
면접 트렌드 변화: 역량 기반 질문 증가, 케이스/사례꼬리 인터뷰 등 보편화
경쟁 심화: 대기업 및 외국계 등과 처우 경쟁 시작 (원격근무 대두)
실제 기업 사례: 토스/직방/당근마켓 등은 조직문화 핏 강조
→ 코로나 당시에 저는 망하는 기업과 오히려 승승장구하는 기업을 보며, 비즈니스라는 것은 물론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지만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것은 구직/이직을 하는 근로자에게도 사실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타이밍”은 내가 결정할 수 있는/없는 영역이 있습니다. 결정할 수 있는 영역은 예를 들어 ‘2-3년만 다니고 이직을 할거야’ 같은 부분입니다. 결정할 수 없는 영역이 ‘코로나가 터져서 식당에 손님이 아예 없고 월세를 내지 못해 문을 닫게 되’는 부분입니다.
→ 그리고 코로나 후에는 채용 시장이 그래도 조금 풀리겠지 하면서 모두 기대를 했었습니다. 어느 정도 풀린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풀리고 나서 오히려 더 채용은 어려워졌습니다. 우리는 너무 많이 뽑아보고, 내보내고, 또 뽑아보고, 또 내보내고 하면서 - 기업이나 근로자나 모두 더더더 똑똑해졌습니다. 대기업들도 공채를 확 줄이고 인턴을 뽑아 검증하거나, 경력직 위주의 채용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이제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Quality’가 되었습니다.
[이 당시를 돌아보기]
원격근무·디지털 전환 → 팀 규모 작아지고, ‘정말 필요한 인재’만 채용 (AI 도구 도입으로 가속화 중)
포지션 하나도 매우 명확히 정의 가속화, 단순히 ‘마케터’가 아니라 ‘CRM 전문 마케터’
(이건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런 방향으로 가고 있었음)
조직문화 핏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까지 체크 → 문화적 적합성은 이제 핵심
자동화·AI 도입 → 서포트 직군은 축소, 핵심 직군은 ‘정밀하게’ 뽑음
채용 브랜드와 후보자 경험(Candidate Experience)의 중요성 증가
채용 프로세스 변화: 사전과제, 실시간 과제, 비동기 인터뷰, 자동화/AI 면접 도입, 평판조회 필수화
실제 기업 사례: 뱅크샐러드, 몰로코, 리브스메드 등의 정밀 채용 전략
→ 채용 시장은 이렇게 양 → 검증 → 정밀 의 흐름으로 바뀌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AI를 접목한 다양한 방법론과 글로벌하게 채용을 가져가는 방법들에 대해 더 많은 발전이 이뤄질거란 기대를 해봅니다. 인사라는 큰 틀에서 채용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은 앞으로 더 중요해지면 중요해졌지 작아지진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채용에 있어 지금은 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오늘의 채용이 내일의 채용보다 저렴합니다. 그리고 오늘의 채용이 내일의 채용보다 쉽습니다. 우리 회사만의 채용 전략을 확고히 하며 발전 시켜 나가봅시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스타트업과 글로벌 기업의
채용 및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데 기여했습니다.
현재는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사에서
Talent Acquisition 파트장를 맡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로 여러분과 더 나은 채용을
하기 위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글 #오프피스트 #커리어빌딩 #에스더 #채용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