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사회 초년생으로 기업에 발을 처음 내딛으며 HR 병아리의 길을 시작했던 제가 그 후 2025년, 기업을 벗어나 노무사라는 직업으로 밥벌이를 하고 있을 줄은 커리어 로드맵 상 생각도 못한 일이었습니다.
10년이라는 나름의 짧지 않은 시간동안 두 곳의 기업에서 교육, 평가, 보상, 채용 등 인사의 각종 기능을 수행했고 때때로는 법적 지식이 필요해 자문 노무법인의 노무사를 찾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가끔씩 “우리 자문 노무사님은 왜 이렇게 원칙적으로만 말해? 법에서는 안 된다는거 다 알겠는데 그래도 될 수 있는 방법을 좀 찾아봐줘야지!”란 답답한 푸념을 하기도 했더랬죠.
그렇게 하루하루 인사담당자로서의 경험이 쌓여가던 중, 문득 제 주변에 있는 노무사 지인들을 보면서 “쟤도 노무사가 됐는데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란 오만하고 위험한(?)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인사팀 10년 했는데 노무사 되는거 쉽지 않겠어? 뭐 이런 마음으로요... 물론 이런 마음은 실제 수험을 시작하고서 단 며칠만에 파사삭 깨졌습니다. (“쟤도 노무사가 됐는데”의 “쟤”를 존경하는 마음을 갖게된 것은 덤입니다.)
37살을 앞두고 시작한 수험으로 예상치못한 고생길을 약 2년 반에 걸쳐 경험하기는 했지만, 다행히 노무사가 되었고 이제 탄탄대로가 펼쳐질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인사팀 실무 경험이 10년이나 있는데 내가 노무사로서 얼마나 잘하겠는가! 이런 마음이었죠. 역시나 이 마음은 법인에 노무사란 직업을 갖고 출근한지 며칠만에 파사삭 깨졌습니다. 그건 위에서 말한 “우리 자문 노무사님은 왜 이렇게 원칙적으로만 말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