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밋업
컨퍼런스
[HR 수다] 여러분의 조직은 오늘도 공정한가요?

[HR 수다] 여러분의 조직은 오늘도 공정한가요?

People Analyst가 이야기해 주는 HR 이야기
조직문화HRBP성과관리조직설계전체
지욱
황지욱Aug 25, 2025
343612

브라운아이즈가 부릅니다. 벌써 1년. 

어느 정도 짬이 찬(?) 직장인이라면 으레 느끼듯이 기업의 일상은 매년 쳇바퀴 돌듯 흘러간다. 연초 조직개편이 이루어지면 각자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새해를 준비하거나 또 새롭게 발령 난 조직으로 떠나 새로운 새해를 준비한다. 지난 해 세워뒀던 올해 연도계획을 수정해서 올해 업무계획을 확정하고 예산을 배정받고 부서 내 업무분장을 한다.  

 

드디어 첫 번째 업무를 시작하면 정신없이 시간이 흘러가고 준비했던 계획업무와 그 와중에 떨어지는 수시업무가 뒤섞여 유튜브 속 쇼츠만큼이나 정신없는 상황이 이어진다. 그러다 어느새 정신을 차려보면 여름휴가 시즌이 다가오고, 여름휴가 다녀온 뒤 수신함에 가득 쌓인 메일이며 업무들과 씨름하다 보면 벌써 민족 대 명절 추석이 성큼 다가온다. 선선한 날씨와 함께 추석이 지나는 순간 우리는 “내년에 제가 여기 남아 있을지 모르겠지만"이란 말을 읊조리며 슬슬 하던 일을 마무리하고 내년을 준비한다.  

 

재미있는 점은 아직 9월이 채 지나기 전이거나 늦어도 10월 초인데도 불구하고 소위 고인물들께서는 베테랑 농부가 내년을 준비하듯 이미 올해 농사가 끝났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점이다. 슬슬 승진대상자에 대한 하마평이 돌고, 올해는 누가 평가를 잘 받을 것인지? 또 나는 올해도(!) 망했다는 자조 섞인 말들이 뒤섞여 사내 메신저 속을 떠돈다. 그래서 9월을 앞둔 지금 이야기하기는 조금 이르지만, 공정함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장면 1. 부장님의 공정한 평가 

내가 입사 6년차였던가? 지금은 은퇴하신 어느 부장님께서 새로운 평가정책을 제시하셨다. 팀 내 평가기준을 손수 설정하시고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하겠다고 하셨다. 연말이 되자 진짜 팀원들을 모아놓고 엑셀로 직접 정리하신 평가결과를 빔 프로젝트로 펼쳐 놓으신 뒤, 올해는 이지안 과장이 종합점수 1위, 박동훈 차장이 종합점수 2위... 도준형 대리가 종합점수 최하위라고 발표하셨다. 올해 고과평가는 회사에서 정한 비율에 맞춰 순위대로 상위조직에 통보하겠다고 하신다. 이때 최하위 고과가 확실시되는 도준형 대리가 붉어진 얼굴로 “이건 공정하지 못합니다! 애초에 이지안 과장에게 매년 광나는 알짜배기 업무만 맡기셨는데 어떻게 이게 공정할 수 있습니까?”라고 억울함을 남기고 붉어진 얼굴로 회의실을 나간다. 과연 부장님의 인사평가는 공정한가? 

 

#장면 2. 예측 가능한 인사정책 

매년 팀 내 승진후보자를 정하는 일은 고도의 전략이 필요하다. 상위 조직 내 승진대상자보다 승진 TO가 늘 적은 것도 이유지만, 각 팀에서 내세운 후보자 간에 경쟁도 무시할 수 없다. 심지어 직급별 승진 TO가 딱 정해져서 내려온다 해도, 누구를 승진시킬지 결정하는 것은 정말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일이다. 때로는 조직 내에서 직급별 승진 TO를 주고받는 모종의 거래(?)가 일어나기도 하고 유력한 백그라운드를 등에 업은 깜짝 발탁이 이뤄지기도 한다. 승진후보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가진 김부련 상무님은 그런 복잡한 계산이 싫었나보다. 연초부터 “우리 조직은 무조건 순서대로 승진한다.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한 연공서열에 따라서 승진을 시킬 것이고 임원으로서 나는 다른 조직에 비해 최대한 많은 승진 TO를 가져오는데 주력하겠다”라고 조직에 선언했다. “조직의 성과는 어느 개인이 이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이 합심해서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야 말로 예측 가능한 인사정책 아니냐?”라며 자신의 인사정책이야말로 공정한 인사라고 밝혔다. 아니나 다를까 매일 누구와 점심을 먹을지 고민하는 것이 오전 일과이고 3시 30분 주식장이 끝나기 전에 매매를 마치느라 스마트폰을 부여잡고 있는게 오후 일과인 이번 승진에 유력한 후보인 한석률 과장에 대한 불만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있었다. 과연 구성원들은 김부련 상무님의 승진정책을 공정하다고 생각할까? 

 

#장면 3. AI에 의한 부서배치 

은행은 횡령 등 사고의 위험성과 다양한 이유로 정해진 기간에 따라 영업점 근무자들을 순환배치한다. 그런데 영업점 순환배치는 담당자를 곤혹스럽게 하고, 씁쓸한 뒷맛을 남겨왔다. 영업점 점장들은 늘 업무능력이 출중하고 싹싹한 우수인력이 배치되길 원하고, 영업점 근무자들은 좀 더 편하고 거주지에서 가까운 지점으로 배치 받기를 원한다. 그래서 순환배치가 이루어진 직후 담당자는 항의전화에 괴롭기 그지없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OO은행이 2020년 혁신적인 AI 알고리즘 기반 순환배치 시스템을 도입한다. 근무경력, 자격증 현황, 거주지 등 30여가지의 룰을 기반으로 룰 베이스 알고리즘을 설계한 뒤 이를 기반으로 각 영업점 별 배치를 진행했다. HR에 AI를 도입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기사도 냈다. 하지만, 실상은 거창한 외부 홍보와 달리 불만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불만을 이야기할 곳이 없어졌을 뿐이다. 영업점 점장과 영업점 근무자가 순환배치 담당자에게 예전처럼 불만을 토로해도 “아! 그건 제가 한 게 아니라 AI 알고리즘이 한 거라 저도 어쩔 수 없습니다. AI 알고리즘이 최대한 공정하게 프로세싱 한 거에요!”라고 이야기하니 그들도 어쩔 도리가 없는 것이다. 과연 AI 알고리즘에 의한 부서배치는 공정한 것일까? 

 

우리가 인식하는 공정함 

우리는 공정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자기애가 유독 강한 한국사람들은 공정하지 못한 상황을 참지 못한다. 그런데 이런 우리는 공정함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공정함(Fairness)는 단일 개념이 아니다. 공정함에는 여러가지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데 실제로 사람들에게 공정함을 영어로 번역해보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들이 다양한 단어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보니 평등(Equality), 형평(Balance), 정의(Justice), 공정(Fairness)까지 다양하게 이야기를 한다. 평등은’ 결과의


지욱
황지욱
안녕하세요 황지욱입니다.
HR Researcher이자 HR Practitioner로 살아가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경험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좋은 사람들과의 공유를 즐겨합니다. 사람, 조직, AI, 그리고 철학과 음모론을 좋아합니다.

댓글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
(주)오프피스트 | 대표이사 윤용운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8길 13, 4층 402-엘179호(서초동, 제일빌딩)
사업자등록번호: 347-87-0349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5-서울서초-2362호
전화: 02-6339-1015 | 이메일: help@offpiste.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