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한국 산업의 성장 원동력은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이었다.
선진국의 기술을 빠르게 추종하며 경쟁력을 쌓아올린 방식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 판을 뒤흔든 섹터가 등장했다. 바로 K-뷰티 스타트업이다.
이제 K-뷰티는 선진 시장을 따라가는 후발주자가 아니라, 글로벌을 선도하는 산업군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대기업도 해내지 못한 성취를 빠르게 쌓아올린 K-뷰티 스타트업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성공한 글로벌 K-뷰티 스타트업의 Key success factor는
기획력과 속도력, 그리고 대응력을 실행할 수 있는 조직내부의 주도적 실행력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주도적인 빠른 실행력은 젊은 CEO의 리더십이나 스타 임직원 개인의 영감이 아닌 최일선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들의 능동성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문화에서 기인합니다. “
특히나 뷰티업계는 스타트업 섹터중에서도 변화가 빠르고, 타이밍이 매우 짧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 이유로 스타트업 조직은 기능조직이 아닌 목적조직으로 진화하였고,이러한 목적조직은 점점 더 회사를 ‘문제 해결형’에 적합하게 진화 시켰습니다.
1) 문제해결형
스타트업의 목적조직은 시장과 고객의 니즈를 하나의 과업(task)로 정의하고 이를 유연하게 풀어낼 수 있도록 부서간의 경계를 허물고 기능중심이 아닌 과업중심으로 조직이 일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대기업은 담당 PM이 상품부터 마케팅까지 모두 기획한 뒤 마케터와 영업/사업부서에 내용을 전달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반면, 스타트업과 같은 lean 조직에서는 인원이 부족한 이유도 있으나 빠른 속도를 위해 모든 기능부서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팀으로 움직입니다. 그 결과 시장변화에 유연하게 반영하고 정밀하게 빠른 대응을 만들어 냅니다.
즉 경영진 혹은 조직장의 탑다운의 지시명령체계가 아닌 고객에 가장 가까운 실무진이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주도력이 고객지향적인 역기획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대기업은 따라 올 수 없는 속도를 만들었습니다.
2) 주도력과 오너십
젊은 구성원들에게 실질적 권한을 부여하고, 실패를 허용하며, 빠른 검증과 개선이 가능한 환경 마련
여기에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실패를 허용하며, 빠르게 검증하고 개선하는 조직시스템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대기업이 해내지 못한 일들을 스타트업이 이루어 내고 있습니다.
속도를 이끄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조직이며, 그 조직을 움직이는 젊은 실무진의 감각과 판단력이 발현되도록 이끄는 일을 HR이 적극적으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무엇보다 속칭 잘되는 뷰티 스타트업들은 회사의 사업과 재정적 어려운 까지도 직원들에게 숨기지 않고 모든 것을 투명하게 공개했습니다.
보통의 대기업과 스타트업에서도 금기시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성공한 뷰티 스타트업들은 전략적 연계와 직원들과의 “책임의 동반자”로 갈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오히려 뷰티업계의 시장위기를 잘 극복하고 살아남아 지금의 K-뷰티를 이끌고 있는 회사들은 결속력이 강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모든 회사가 그런 것은 아니며 운과 사업전략이 조직을 앞선 경우들도 많았고 정말 스타플레이어가 성공을 만든 경우도 많았습니다)
카카오의 경우에도 내부에는 100:0 이라는 모든것을 오픈하는 문화가 있었고, 실패를 인정하되 회고를 하는 문화가 자리잡았고 이는 빠른 성공의 요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