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질문을 받아보신 적이 있나요? 22년 코로나가 한참 성행하던 시절에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채용 스터디에서 이런 질문을 받아본 적이 있습니다. 기억이 흐릿하여 당시에 어떤 대답을 했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그 질문 만큼은 또렷하게 기억이 납니다.
요즘 채용 어떠신가요?
제가 속한 IT 업계는 경제의 침체와 더불어 채용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잘 나가는 스타트업이 갑작스레 사라지고, 기업은 투자를 최소화하고 움츠리는 모양새가 보입니다. 제가 멘토링 하는 친구들은 지원할 곳의 절감을 체감하고 있고, 이직을 노리는 친구들도 오랜 기간 노력에 노력을 거듭해도 좁은 문이라는 이야기를 해 오고 있고, TA/TM 친구들은 포지션 하나를 열면 100개에 달하는 이력서가 쏟아져서 허수 검증에 힘들다는 이야기도 들려옵니다. 다양한 계층의 이야기를 미루어보면 여러모로 쉽지 않은 상황처럼 보여집니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당신의 조직은 어떤 사람을 채용하고 있나요"
우리보다 앞서 1999년부터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를 시작하고 2007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우리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청사진으로 많이 인용되곤 합니다. 그런 일본 사회를 보면 우리 채용에 대한 힌트를 알 수 있을까요
원티드 인살롱에 5월 중순 손지훈 님의 다음과 같은 글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다양성을 잃어가는 사회의 단면이 한 문장 한 문장에서 느껴져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던 인상적인 글 이었습니다.
일본에 있는 친구들을 통해 많은 소식을 듣고 있는데, 그곳은 채용의 불황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여전히 수많은 채용이 있고, 경력 뿐만이 아니라 사회에 진출하는 초년생까지 다양한 계층을 여전히 활발하게 선발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고용 기회라는 관점에서는 많은 선택지가 있기에 우리의 사정보다 나아보지만 오히려 일할 사람이 부족한 상황에 다음과 같은 부작용도 심심치 않게 화자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가요.
출산율 저하의 여파로 생산가능인구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2022년부터 하락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31년까지 400만명 정도 급감할 것을 통계청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매년 몇 명의 멘토링을 하고 있는데, 신입이 지원할 수 있는 채용이 없어짐을 그들과 함께 공감하고 있습니다. 이 친구들은 어디에서 어떻게 일을 시작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