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문_
AI 활용 강의가 많아지고, 어느덧 챗GPT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시각화 작업은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드저니는 이와 다르게 세부적인 기능 활용이 작업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는 프롬프트 설계에 따라 결과물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창의성과 언어적 표현력이 작업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미드저니를 제대로 활용하는지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볼까요?
AI 활용 교육은 많지만, 정확하게 실력 평가하는 곳은?
AI 활용 교육은 인스타그램, 스레드, 블로그 등 여러 콘텐츠 소비 접점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강의를 홍보하는 회사마다 지식 집중, 업무 활용, N잡 수익화 등 활용 방향을 잘 소개해줍니다.
실제로 이 교육을 통해 내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할 수 있을까요?
일부 교육은 초급/중급/고급에 해당하는 학습 과정을 제시해주지만, 실제로 나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안내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턱대고 중급/고급 둘 중 하나를 택1 하고 차츰 어깨 너머로 배워가고자 하는 자신만의 방법론을 주장하기 마련입니다. 다른 서비스와 다르게 미드저니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기에 기본 내용을 이해하지 않고 활용하면 모방에 그칠 수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딸깍 하면 만들어지는 것을 두고, 실력 구분이 필요한지 의문점을 제시합니다.
이것은 미드저니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말하는 것입니다.
미드저니는 활용하는 용도에 따라 본인 개인화 설정, 목적에 맞는 컨셉을 적용할 수 있기에 핀터레스트와 다양한 이미지 레퍼런스 수집에도 유용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해외 사이트를 참고하면, 평가 기준 정립에 도움!
그렇다면 말입니다. 정작 미드저니 평가 척도를 어떤 기준으로 잡아갈지 막막합니다.
미드저니 강사들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한 것도 원인입니다. 유저들의 수준을 인지할 수 있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평가 희비가 다른 상황입니다.
해외에서 이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찾았습니다.
adaface 라는 사이트인데요, 다양한 Tech/디자인/언어/직무 테스트를 비대면으로 진행합니다.
미드저니를 선택하면, 무료로 시작하라는 버튼이 나오는데요.
실상은 유료 가입을 해야 제대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제가 주목하는 건 테스트 문항이 아니라, 사이트가 미드저니 기능을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지 였습니다.
대략적으로 25분 내외 진행하면서,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요.
난이도는 설정할 수 있는 것 같았어요.
✅ 미드저니 TEST 항목
미드저니 인터페이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이미지 생성 기술
스타일 에셋 활용
버전 활용, AI 윤리
프롬프트 구성원칙, 매개변수 (고급)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등 미드저니 문제 발생시 도구 해결 활용 등
✅ 평가 결과 관리/설정
컷오프 점수 (합격 점수 조정 가능) 를 설정하여 초기 난이도 조절 가능합니다.
특정 대상 점수도 안내 받을 수 있는데요, 이 외에도 공개 링크로 다양한 평가 대상자를 모집할 수 있어요.
막상 기능을 살펴보면서 물음표 하나 떠올렸죠.
오픈북 유형의 테스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에 감독 기능이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테스트 시간 지정
웹 감시 / 웹 캠 감시 활성화
질문 순서 무작위 가능 (서로 다른 사용자간 정답 공유 어렵게 할 수 있음)
전체화면 감시 활성화
✅ 개인 결과 피드백
전체 순위를 파악할 수 있고, 감독 관리영역에서 특이 사항 있는지도 파악이 됩니다.
오답/미응시 문제는 취합해서 피드백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문항별 오답풀이 기능은 없지만, 수작업으로 취합하여 주요 키워드로 분류하면 진행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양한 AI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이미지 제작은 더 이상 미드저니만의 특화된 영역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감성적인 세부 조정이 가능한 측면에서는 여전히 미드저니가 강세입니다. 감성적인 채색, 무드보드 구성 등 퍼스널 코드까지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난이도별 평가표를 만들어볼까요? (with AI friends )
adaface.com 사이트에서 나온 기준을 적용하고 싶어도 유료 사용이 아닌 상황에서는 세부 항목 입력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AI 서비스를 활용한 평가표 만들기입니다.
제가 주료 사용하는 AI 친구들을 소개하고, 글을 이어갑니다.
첫 번째 친구는 MS 코파일럿입니다.
지혜로운 부엉이의 모습으로 표현한 코파일럿! 요즘 이미지 제작 관련하여 많이 사용중인데요. 미드저니 프롬프트 관련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검토했습니다.
두 번째 친구는 Chat GPT 입니다.
기본 서비스 중의 하나로 웹 검색처럼 일상 속 대화도 진행하는데요. 해당 서비스에서는 미드저니 평가 관련 adaface.com 참고하여 평가 척도를 만들어가는데 협력했습니다.
세 번째 친구는 Genspark 입니다.
강아지처럼 강인하면서도 유쾌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펼쳐가는데요.
젠스파크에서는 챗GPT에서 보여준 평가표를 다시 검토하고, 문장 자연스러운 전개에 집중하면서 현재 사용중인 파라미터 적용 유무를 살펴봤습니다.
세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젠스파크와 만들어 본 평가표를 소개합니다. 젠스파크와 평가표를 만들면서 GPT와 파라미터를 탐구하면서 기준을 만들었습니다.
파라미터 기준 난이도 분류
(1) 파라미터 (Parameter)의미
프롬프트 뒤에 붙여서 이미지 생성 과정이나 결과물을 세부적으로 조절하는 옵션을 말합니다.
이미지 결과 통제 (같은 프롬프트라도 파라미터에 따라 다른 결과 나옴)
세부 조건 추가 (텍스트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느낌 전달, ‘비율/품질/스타일 강도 등’ )
동일한 이미지 다시 만들게 하거나 새로운 결과물 발현
(2) 난이도 분류
초급 : 기본적인 이미지 크기, 품질, 스타일 변경
--ar
, --q
, --style
, --repeat
중급 : 결과 통제력 확보, 무작위성/스타일 조절
--seed
, --chaos
, --stop
, --stylize
고급: 실험적 이미지, 창작 활용
--tile
, --video
, --weird
, --niji
, --sameseed
루브릭 평가모델 적용, 평가 기준
루브릭 평가모델을 적용한 이유
: 수행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목적이 생성형 AI 활용 콘텐츠 제작 평가에 적합합니다. 평가 기준과 수준별 설명을 기반으로 진행하면서 평가자/학습자 모두가 기준을 인지하고 활용하기에 창작활동에서 평가 모호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각 난이도에 따라 접근해야 하는 항목을 간단하게 언급합니다.
젠스파크 활용, 미드저니 루브릭 평가표 (파라미터 기준)
[ 초 급 ] 기초 파라미터 이해 및 활용 평가에 집중합니다.
기본 파라미터 이해 (단순문, 나열 중심)
비율 설정 (--aspect)
품질조절 (--quality)
모델 버전 차이 이해 (v7, v6 … )
[ 중 급 ] 고급 파라미터 활용 및 창의적 제어
파라미터 조합 창의적 효과 표현 (2개 이상 조합)
스타일 구현할 수 있는 파라미터 활용 (2개 이상 조합)
제외 요소( --no), 시드 활용(-- Seed) 반복 생성
[ 고 급 ] 개인화 프로필 적용, 비디오 생성에 필요한 파라미터 조합
파라미터 조합, 논리적인 프롬프트 표현(영상 제작)
특수 모드 파라미터 활용한 이미지 표현 (일본애니풍 -- niji 등)
고급 스타일 제어 가능 (스타일 참조 --sref , 브랜드 스타일 유지에 도움이 되는 이미지URL 참고 )
타일 패턴 제작 ( -- tile) 에서 일관성 혹은 변형 적용
✒️ 마치는 문 __
새로운 것을 탐구하고 성과로 이어가기 위해 무조건적인 시간 투입이 능사가 아닌 시대입니다. 창작 활동에서는 투입된 시간의 양도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습니다.
국내외 자료를 AI 도움으로 조사하고 의미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모델로 구현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