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밋업
수영 못하는 원숭이는 죽지 않는다

수영 못하는 원숭이는 죽지 않는다

강점에 대하여
세진
김세진Aug 24, 2025
전체
91210

우리는 모두 부족함을 가지고 있다.

누군가는 집중력이 약할 수 있고, 누군가는 사교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 어떤 사람은 유머 감각이나 공감 능력이 떨어질 수도, 체력이 약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모든 부족함을 다 약점으로 본다면, 우리의 인생은 끝없는 보완 과제가 된다.
'이것도 부족하고, 저것도 부족하다'는 생각 속에서 우리는 늘 자신을 고치려 애쓰게 된다.

하지만 모든 부족함이 약점은 아니다.
나의 생존과 성장을 흔드는 것만이 약점이 된다.

수영을 못하는 원숭이는 수영을 배워야 할까?

원숭이가 나무를 못 타면 어떻게 될까?

그건 분명한 약점이 된다. 원숭이 삶에 있어 죽고 사는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림1.jpg

하지만 원숭이가 수영을 못한다고 해서 죽지는 않는다.

그건 단순한 부족함일 뿐, 치명적인 약점은 아니다.

원숭이는 나무만 잘 타면 된다.
굳이 물속에서 허우적거리며 수영을 배우지 않아도 된다.

문제는 여기 있다.

부족함을 모두 채우려 애쓰다 보면 정작 나를 살게 하는 강점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격수는 공격을 잘하면 된다

공격수의 핵심 역할은 무엇일까. 득점이다. 슈팅 감각과 공간을 읽는 능력이 바로 공격수의 생존 기술이다.

그림3.jpg

그 선수가 사교성이 없다거나 말주변이 없다 해서 경기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반대로, 체력이 약해 후반전까지 버티지 못하거나 집중력이 흔들려 결정적 순간을 놓친다면?
그건 분명 약점이다. 경기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선수가 자신의 강점을 더 날카롭게 다듬어야 할 시간에
'사교성을 키워야 하나?’ ‘성격을 바꿔야 하나?’ 같은 불필요한 부족함에만 매달린다면

정작 슈팅 훈련, 체력 보강, 집중력 강화 같은 진짜 중요한 영역에 쓸 시간을 놓치기도 한다

경기력은 경기장에서만 만들어지지 않는다.
훈련, 준비, 습관, 그리고 자신이 어디에 힘을 쏟느냐가 경기력을 지배한다.

회사라는 경기장도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한 팀원이 데이터 분석 능력이 뛰어나고 복잡한 문제 해결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해보자.

이 사람은 가끔 발표력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약점일까?

그림4.jpg


그 부족함이 실제 성과와 성장을 좌우하지 않는다면 그건 굳이 약점이라 부를 필요가 없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오류가 있거나 협업에서 신뢰는 무너뜨린다면?
그건 명백한 약점이다. 조직에서 그의 성과와 성장, 나아가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도 똑같다.

발표력을 보완하느라 에너지를 쏟아버린다면, 정작 데이터 분석이라는 강점은 날카롭게 자라지 못한다.

'발표력을 키워야 하나, 아니면 분석 역량을 더 깊게 파고들어야 하나?'

이 선택 앞에서 우리는 종종 잘못된 우선순위를 둔다.

나무를 더 잘 타는 대신, 괜히 수영을 배우려 애쓰는 원숭이처럼 말이다.

리더십도 마찬가지다. 리더가 모든 것을 잘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모든 걸 잘하려 애쓰는 순간, 리더는 자신만의 강점을 잃는다.

리더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팀 성과와 직결되는 핵심에 집중하는 것이다.
방향을 제시하고, 신뢰를 쌓고 구성원들이 제 역할을 다하도록 돕는 것.

나머지는 팀원들의 강점을 발현시키면 된다.
좋은 리더십은 완벽에서 오지 않는다.

집중과 선택에서 나온다.

진짜 강점에 집중하기✨

결국 우리는 이렇게 질문해야 한다.

내 부족함 중, 내 삶과 성장을 진짜로 흔드는 건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할 수 있을때, 우리는 불필요한 부족함을 내려놓고 진짜 강점에 집중할 수 있다.

불필요한 부족함을 메우려다 정작 내 강점을 잃지 않아야 한다.

수영 못하는 원숭이는 괜찮다. 중요한 건, 나무를 잘 타는 강점을 잃지 않는 것이다.

경기력은 경기장 안에서 드러나지만, 경기력은 경기장 밖에서 결정된다.
강점에 집중하는 삶이 결국 경기장 안의 성과를 바꾼다.


The Other Game은 스포츠 씬 속 리더십과 마인드셋을 연구합니다.
본게임 너머, 경기장 밖의 ‘또 다른 게임’을 다루는 방식이 개인과 팀의 성장을 결정합니다.


세진
김세진
The Other Game
스포츠에서의 리더십과 팀 문화를 연구하여, 그 인사이트를 개인과 팀의 성장에 연결합니다

댓글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
(주)오프피스트 | 대표이사 윤용운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8길 13, 4층 402-엘179호(서초동, 제일빌딩)
사업자등록번호: 347-87-0349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5-서울서초-2362호
전화: 02-6339-1015 | 이메일: help@offpiste.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