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하버드대학교 사회학과 마크 그라노베터(Mark Granovetter) 교수는 놀라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직장을 구한 2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0%가 가끔 만나는 지인을 통해 기회를 얻었다는 사실입니다. 반면, 친한 친구나 가족을 통해 직장을 구한 경우는 단 17%에 불과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약한 연결의 힘(The Strength of Weak Ties)' 이론의 시작이었습니다.
50년이 지난 지금, 이 이론은 여전히 유효할까요?
그리고 우리가 매일 해오던 HR 활동들을 다시 바라볼 필요는 없을까요?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업계의 HR 담당자들을 만나며 흥미로운 경험담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한 제조업체의 HR 담당자는 공장생산팀과 연구소 간의 소통 부족으로 고민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연히 두 팀이 같은 시간에 커피를 마시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가 시작되었고, 몇 주 지나자 서로 업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결과, 부서 간 협업 프로젝트 제안이 늘고,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던 수정 요청도 줄어들었습니다. 직원 만족도 조사에서 부서 간 협력 항목 점수가 눈에 띄게 개선된 것은 물론입니다.
이 담당자는 "단순해 보이지만, 이런 우연한 만남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했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IT 기업의 HR 담당자는 개발팀과 마케팅팀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점심 매칭' 프로그램을 시도했습니다. 매주 무작위로 다른 부서 직원들을 매칭해 함께 점심을 먹게 한 것입니다. 처음엔 시큰둥한 반응이었지만, 몇 달 후 부서 간 갈등으로 인한 HR 상담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신제품 출시 과정도 훨씬 매끄러워졌고, '다른 부서가 뭘 하는지 이제 알겠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이 쏟아졌습니다.
이런 경험담들은 우리가 의례적으로 진행하는 많은 HR 활동을 '네트워크'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Granovetter(1973)는 약한 연결이 강력한 이유를 정보의 비중복성으로 설명합니다. 친한 친구들은 나와 비슷한 정보 환경에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반면 가끔 만나는 지인들은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어 참신하고 비중복적인 정보를 가져다줍니다. 최근 링크드인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Rajkumar et al., 2022)도 약한 연결을 통한 정보가 강한 연결보다 훨씬 더 많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이를 뒷받침합니다.
Ronald Burt(2005)는 그라노베터의 이론을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 이론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서로 연결되지 않은 그룹들 사이의 '중개자(broker)' 역할을 하는 사람이 가장 큰 이익을 얻는다는 것입니다. 버트의 연구에서 구조적 공백을 많이 가진 관리자들은 승진 가능성이 높았고, 더 좋은 성과 평가를 받았으며, 연봉도 더 높았습니다.
대부분의 조직은 이미 다양한 HR 활동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규직원 멘토링, TFT 운영, 직원 추천 채용, 사내 동호회(CoP 포함) 지원 등이 대표적이죠. 하지만 이러한 활동들이 단순히 '해야 하는 일'로 여겨지고 있지는 않을까요? HR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활동을 '구성원의 네트워크 강화'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부서는 일종의 '사일로(silo)'를 형성하며, 이는 곧 구조적 공백을 만들어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흐름을 차단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적 접근법을 소개합니다.
1. 물리적 환경 재설계 : '충돌 공간'을 의도적으로 조성하라
기존에는 부서별로 구역을 나누어 앉혔다면, 이제는 우연한 만남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해야 합니다. 커피머신이나 프린터 같은 공용 시설을 부서 경계에 배치하거나,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마주치는 '충돌 공간(collision space)'을 조성하는 것이죠.
2. 교차 기능 활동 재설계: 비공식적 협업을 장려하라
프로젝트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