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마음에 대해 잘 모르는구나’ 하고 느낀 경험이 있다.
한 구성원과의 면담을 시작하려는데, 그가 대뜸 “케빈은 괜찮아요?”라고 물었다. 늘 내가 구성원들에게 던지던 질문을 막상 직접 받으니, 선뜻 대답하지 못하는 나를 발견했다. 바로 그 순간 깨달았다. 아, 내가 괜찮지 않구나.
이처럼 인사담당자는 구성원의 마음을 살피는 역할에 익숙하지만, 정작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챙기는 데는 서툰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늘, 인사담당자를 위한 마음공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마음공부란 무엇일까? 나는 마음공부를 ‘자신의 내면을 관찰하고, 스스로의 경험과 감정을 온전히 인식하며 수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다시 말해, 나를 알아가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마주하는 시간이다.
인사담당자에게 이 과정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마음의 여유’를 갖기 위해서다. 우리는 조직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그들이 각자의 불안에서 비롯된 여러 행동을 하는 것을 목격한다. 문제는 그들의 불안이 내 안의 불안을 자극할 때다. 나도 모르게 평소 불안할 때 나오는 방어적인 행동들이 튀어나오고, 이는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타인의 불안이 나를 잠식하지 않게 하려면, 먼저 내 안의 불안을 명확히 알고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바로 이 과정이 마음공부의 핵심이다. 내 불안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마음에 여유가 생기면, 비로소 타인의 불안이 객관적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한 걸음 떨어져 그 상황을 바라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시작점이며, 마음공부를 통해 우리는 자신과 타인을 편견 없이 마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과정은 결코 단순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