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조직을 망치는 권위적 리더십, 이제는 내려놓을 때 (2/2)

조직을 망치는 권위적 리더십, 이제는 내려놓을 때 (2/2)

편 가르기 시대, 우리는 함께 가야
작가
준작가Jul 24, 2025
전체,미드레벨,시니어,리더,임원,CEO
7849

2. 권위적 리더십을 내려놓는 방법

1) 나의 무대에서, 나의 전문 분야 살리기

만약 내가 깊이 연구하고 경험했던 나의 전문 분야였으면 어땠을까? 복잡한 환경과 조건들을 고려하여 더 다각도로 접근하고 방법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이슈를 푸는데 집중할 것이다. 내가 그 업무를 가장 잘 알고, 나에게는 이 과제가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들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의사 결정은 이후 실천 행동까지 이어져 생산성을 높이기 마련이다. 변화의 시대, 우리에겐 이런 전문가를 신뢰하고 지원하는 리더가 꼭 필요하다.

2) 답을 정해 놓고 묻지 말기

리더가 답을 정해 놓고 질문하는 것은 팀원에게 쉽게 티가 난다. 팀원들은 리더가 생각하는 것보다 리더에 입을 주목하고 온 신경을 쏟고 있다. 그래서 리더의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자연스럽게 수집하는 것이다.

이때 리더의 답이 정해진 질문은 오히려 팀원의 입을 점점 더 닫게 만든다. 팀원들은 자신의 모습이 혹시 반항적으로 보일까 봐 두려워 리더에게 피드백 제공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다. 결국 팀이라는 존재가 여럿이 아니라 리더 혼자인 것처럼 답을 결정하게 된다면 당연히 여럿이 아이디어를 모으는 다른 조직 대비 경쟁력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래서 '예' 또는 '아니요'로만 답하는 닫힌 질문이 아니라 리더와 다른 의견이라도 자유롭게 꺼낼 수 있는 열린 질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열린 소통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팀원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팀 과제에 실리게 되면 자발적으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함께 고민한다. 이는 권위주의적 의사 결정과 정반대로 집단적 지혜를 추구하는 방향이다. 조직은 더욱 똑똑해지고, 일하는 방식은 멈추지 않고 꾸준히 개선된다.

3) 입 밖에 내기 전에 두세 번은 곱씹는 태도

편한 상대에게 속 얘기를 하기 좋지만, 실수를 하고 상처를 주기도 쉽다. 왜 상사에게는 다섯 번 곱씹으면서 팀원에게는 0.5번도 아닌 거르는 거 없이 말할까. 권위는 내가 세우지만 존경은 남이 주는 것이다. 신뢰를 쌓는 건 오래 걸리지만 무너지는 건 한 순간이다. 흘린 만큼 다시 바로 주워 담을 수 없는 게


작가
준작가
#요즘리더 #커리어코치 #소프트스킬
대기업 인사팀, 외국계 기업 컨설팅을 거쳐, 현재 조직문화 혁신과 사내 소통 분야를 리드하는 이사, 사내 코치이자 준작가로 커리어와 소통에 대한 고민과 위로를 함께 나눕니다.

댓글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
(주)오프피스트 | 대표이사 윤용운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8길 13, 4층 402-엘179호(서초동, 제일빌딩)
사업자등록번호: 347-87-0349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5-서울서초-2362호
전화: 02-6339-1015 | 이메일: help@offpiste.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