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권위적 리더십을 내려놓는 방법
1) 나의 무대에서, 나의 전문 분야 살리기
만약 내가 깊이 연구하고 경험했던 나의 전문 분야였으면 어땠을까? 복잡한 환경과 조건들을 고려하여 더 다각도로 접근하고 방법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이슈를 푸는데 집중할 것이다. 내가 그 업무를 가장 잘 알고, 나에게는 이 과제가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들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의사 결정은 이후 실천 행동까지 이어져 생산성을 높이기 마련이다. 변화의 시대, 우리에겐 이런 전문가를 신뢰하고 지원하는 리더가 꼭 필요하다.
2) 답을 정해 놓고 묻지 말기
리더가 답을 정해 놓고 질문하는 것은 팀원에게 쉽게 티가 난다. 팀원들은 리더가 생각하는 것보다 리더에 입을 주목하고 온 신경을 쏟고 있다. 그래서 리더의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자연스럽게 수집하는 것이다.
이때 리더의 답이 정해진 질문은 오히려 팀원의 입을 점점 더 닫게 만든다. 팀원들은 자신의 모습이 혹시 반항적으로 보일까 봐 두려워 리더에게 피드백 제공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다. 결국 팀이라는 존재가 여럿이 아니라 리더 혼자인 것처럼 답을 결정하게 된다면 당연히 여럿이 아이디어를 모으는 다른 조직 대비 경쟁력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래서 '예' 또는 '아니요'로만 답하는 닫힌 질문이 아니라 리더와 다른 의견이라도 자유롭게 꺼낼 수 있는 열린 질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열린 소통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팀원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팀 과제에 실리게 되면 자발적으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함께 고민한다. 이는 권위주의적 의사 결정과 정반대로 집단적 지혜를 추구하는 방향이다. 조직은 더욱 똑똑해지고, 일하는 방식은 멈추지 않고 꾸준히 개선된다.
3) 입 밖에 내기 전에 두세 번은 곱씹는 태도
편한 상대에게 속 얘기를 하기 좋지만, 실수를 하고 상처를 주기도 쉽다. 왜 상사에게는 다섯 번 곱씹으면서 팀원에게는 0.5번도 아닌 거르는 거 없이 말할까. 권위는 내가 세우지만 존경은 남이 주는 것이다. 신뢰를 쌓는 건 오래 걸리지만 무너지는 건 한 순간이다. 흘린 만큼 다시 바로 주워 담을 수 없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