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서 HR을 하고 있어요. 직무 특성상 일상의 많은 순간들을 사람과 문화 관점에서 바라보곤 해요. 제가 좋아하는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소설, 스포츠 등 여러 매체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통해 보여지는 리더십, 팀웍과 같은 이야기를 가볍게 해보려고 합니다.
캐릭터 X 대중 매체, 일명, 캐.대.매입니다.네. 요새, 케.데.헌이 대세더라고요.
영화 F1 더 무비를 보고 왔습니다.
3년 전 탑건 매버릭이 개봉했을 때, 좋은 리더에 대해 많이 생각하던 때여서 매버릭이라는 캐릭터의 리더십에 대해 생각해봤는데요. F1 더 무비의 주인공 소니 헤이즈의 리더십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조셉 코신스키 감독은 하늘과 땅에서 같은 듯 다른 영화를 잘 만들었네요.
제가 생각해 본 매버릭의 리더십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도전적 목표를 제시하고 팀을 강하게 압박함. 팀원들의 생명을 지키려는 마음. 진정성이 있음
꾸준한 연습으로 실무 감각을 유지하고 압도적인 전문성과 실력. 말보다 행동으로 보여줌
평소, 팀원들과 신뢰를 쌓기 위해 은근히 노력함
과거 실패 사례. 그로 인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팀원을 믿고 적절하게 권한을 위임함
특히, 자신을 무시했던 훈련생 전원을 모의 전투 훈련에서 차례로 격파하는 장면과 시설 폭파훈련 때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했던 작전을 직접 전투기를 조종해 성공시키며 “거봐. 되잖아. 왜 너희들은 안된다고만 하니” 를 몸소 보여준 장면이 기억나는데요. 와! 진짜 멋진 리더다. 했습니다.
다음은 소니 헤이즈입니다. 그는 한 때 F1의 젊은 유망주였는데요. 불의의 사고로 모든 것을 잃고 프리랜서 드라이버로 여기저기 떠돌며 살고 있습니다. 오랜 친구의 제안으로 다시 F1의 만년 꼴지팀으로 복귀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죠.
처음, 합류 제안을 받을 때, 소니는 돈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야기 전반에 소니가 돈, 명성보다 레이싱 그 자체, 승리에 대한 열정만으로 행동하는 모습이 비춰지는데요. 결국, 사람들이 그의 진심을 이해하게 되죠.
스스로 금전적 이익보다 열정을 쫓는 타입임. 이것이 팀에 비전을 제시하고 강한 동기를 불러일으킴.
팀원들이 이에 공감하고 자연스럽게 소니를 지지하고 승리를 위해 노력함
소니는 팀의 상태를 보고 정면 승부로는 이길 수 없다는 것을 파악합니다. 규칙의 회색지대를 교묘하게 이용하거나 예상치 못한 행동으로 조금씩 순위를 끌어올리죠. 페어플레이가 아니라는 비난도 있지만 어쨌든 팀은 작은 승리를 거두고 성취감도 느끼게 되죠.
팀의 약점, 게임의 룰을 (룰의 허점까지도 )완벽하게 이해함
장기적 관점에서 조금씩 순위를 높이는 전략을 세워 성과를 냄
F1은 선수 역량도 중요하지만 레이싱 카의 설계와 제작, 메카닉과 호흡도 중요한데요. 소니가 레이싱 직후 메카닉에게 차량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 부품 재설계를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부품은 경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내 전담 분야의 전문성은 물론 긴밀하게 협업하는 인접 분야의 전문성도 갖추고 있음.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소통함
팀에는 왕년의 자신과 닮은 유망주. 피어스가 있는데요. 재능은 뛰어나지만 관종끼도 있고 자만심도 높은데다가 경험 부족에 시야도 좁은 아직은 미숙한 친구입니다. 소니는 그에게 날카롭게 지적하고 불편한 말도 하지만 막상 경기가 시작되면 그를 위해서 뒤에서 어렵고 지저분한 역할을 자처하고 희생을 하기도 합니다. 피어스도 소니를 신뢰하게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