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의 두 깃털
숲속 나뭇가지 위, 까치 한 마리가 앉아 있었습니다. 그의 한쪽 날개는 눈부시게 푸른 깃털, 다른 한쪽은 묵직한 검은 깃털이었어요.
까치는 날개를 접었다 폈다 하며 혼잣말을 중얼거리곤 했습니다.“하고 싶은 일도, 해야 하는 일도… 다 나인데 왜 이렇게 무거울까.”
그 모습을 지켜보던 다른 까치들이 속으로 수군거렸습니다.
“왜 한쪽은 그렇게 반짝이는 거지?”“저 파란 깃털… 저건 자기가 좋아하는 일 아니야?”“하지만 결국엔 검은 깃털로 날게 될걸,.”“그래도 부럽다. 나는 둘 중 어느 것도 펼치지 못했으니까…”
그때, 파란 깃털이 바람을 탔고 검은 깃털이 방향을 잡아주었어요.
까치는 조금 흔들리며 날아올랐고, 하늘 아래로 작지만 안정된 곡선을 그릴 수 있었어요.
다른 까치들은 그를 바라보며 조용히 자신들의 날개를 내려다보았죠.
그리고 생각했어요.
“혹시… 나에게도 두 깃털이 있었을까?”
위의 우화는 조직 내에서 해야 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 사이에 고민하는 우리의 모습을 까치의 두 날개로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해야 하는 일은 책임감이고, 하고 싶은 일은 열정 이았습니다.
정예슬외(2022)는' 일에 대한 열정은 경력 몰입에 도움이 되는가, 방해가 되는가?'에 대해 '일-가정 간 상호작용'의 매개 역할과 '자율성 지지의 조절 효과'를 변인으로 연구하였습니다. 그 결과 '조화로운 열정(harmonious passion)'은 경력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강박적 열정(obsessive passion)'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경력 몰입을 저해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는 열정이 무조건 긍정적인 것은 아니며, 조직이 구성원의 자율성과 삶의 균형을 고려하지 않으면 열정은 오히려 소진과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과 상사의 구성원의 업무 자율성에 대한 지지는 열정 → 몰입의 연결을 강화함을 말해 줍니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165830/?utm_source=chatgpt.com
S 그룹에서 구성원 대상으로 '다시 입사해도 이 직무를 선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